2020년 동지 날짜, 팥죽 뿌리는 시간은 언제일까요?동지는 24절기 중 22번째 절기인데요. 24절기는 크게 춘분, 하지, 추분, 동지로 나뉘게 대는데요. 여기서 동지는 대설과 소한 사이에 위치합니다. 북반구에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낮아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기도 합니다. 음력으로는 11월 중기, 양력으로는 12월 22일 경이 동짓날입니다. 2020년 동지 날짜는 12월 22일입니다. 참고로 12월 22일이 달력의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이고 하순에 들면 노동지라고도 합니다. 예로부터 호랑이 장가가는 날은 동지로 불리기도 하였는데요. 궁중에서는 설날과 동지를 가장 으뜸인 축일로 받들기도 하였답니다. 반대로 민간에서는 팥죽을 먹는 게 흔한 행사였습니다. 팥죽을 먹는 이유는 다들..
앉히다 안치다 맞춤법 올바른 표현은 무엇? 어릴 적 엄마가 밥을 할 때 "이미 밥을 안쳤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시는 걸 들었는데요. 이미 밥을 준비하려고 밥솥을 버너 위에 올려두고 조리 중이라는 말이죠. 그런데 이 단어를 발음하면 안치다라고 그대로 표현됩니다. 그러다 보니 글로 표현할 땐 다시 헷갈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요. 앉히다, 안치다 두 단어 중 이 상황에서 올바른 맞춤법 표현은 무엇일까요? 우선 '앉히다'라는 단어 뜻을 알아야 합니다. 이 표현은 어디에 '앉다'라는 의미와 상통합니다. 의자에 앉다, 책상에 앉다 라는 표현과 같이 어떤 사물, 공간에 몸을 두는 표현인데요. 말 그대로 '앉다' 단어를 생각하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이미지를 상상하실 수 있습니다. 조금 비슷하게 '가라-앉히다..
2021년 정월대보름 날짜, 세시풍속 알아보기정월대보름은 2월 26일 금요일입니다. 오기일(烏忌日)이라고 부르는데요. 설이 지난 후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을 일컫어 정월대보름이라고 합니다. 2021년 신축년은 소띠의 해인데요. 2021년은 올해보다 휴일이 113일로 이틀 더 적으니 명절, 행사는 꼼꼼히 잘 챙기셔서 최대한 푹 휴식을 취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우리나라 민족 고유의 풍속을 세시풍속이라고 말합니다. 전통적으로 계절의 변이에 따라 진행하는 풍습입니다. 정월대보름 때 이루어지는 세시풍속은 대게 오곡밥을 떠올리실 텐데요. 저도 어릴 때 보름이 되면 보름밥을 먹어야 한다고 어머니께서 오곡이 섞인 잡곡밥과 함께 식구들끼리 호두를 망치로 깨어먹은 기억이 납니다. 더 어릴 적엔 이빨로 호두..
2020년 장마기간 예상, 여름 태풍 정보2020년 6월이 접어들면서 요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요. 조만간 장마기간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장마전선은 남쪽에서부터 형성이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 지역부터 시작이 됩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평년보다 장마전선이 빨리 형성된다고 하는데요. 제주도, 경남 지역의 경우 빠르면 6월 10일인 오늘부터 장마기간에 접어든다고 하네요. 오늘 제주도 날씨를 보면 오늘 오후부터 내일 오전까지 비, 다시 모레 밤부터 비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형성된 정체전선이 다시 남쪽으로 내려간다면 장마기간이 조금 더 늦어질 수 있다고 하네요. 보통 장마기간은 6월 하순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올해 첫 태풍은 지난 5월 12일경 발생한 소형 태풍 봉퐁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우한 폐렴 확진자 정리금일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가 5명 추가로 발표되었습니다. 오전에 7번 확진자가 발표되었고 오후 8, 9, 10, 11번째 확진자 4명이 추가 발표되었는데요. 2차 감염자에 이어 3차 감염자까지 발생하였기 때문에 감염 경로와 누구의 접촉자로 감염 되었는지 다들 너무 헷갈려 하시더라고요. 오늘 발표된 오후 뉴스 내용이었습니다. 발표된 뉴스와 기사를 쭉 읽고 정리해보면 현재까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의 감염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1번 (중국, 여, 35세) : 우한 다녀옴2번 (한국, 남, 55세) : 우한 다녀옴3번 (한국, 남, 54세) : 우한 다녀옴4번 (한국, 남, 55세) : 우한 다녀옴5번 (한국, 남, 32세) :..